CPL 필터가 없을 때 파란 하늘을 찍기 위해서는 노출을 언더 보정하여 촬영합니다.
이때 하늘색은 더 파랗게 되지만 하늘이 아닌 피사체는 과도하게 어두워 질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것이 CPL 필터입니다.
- CPL필터를 활용한 파란 하늘 찍기 -
CPL필터를 구매하신 후 처음 범하는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CPL필터를 렌즈 앞에 장착하고, 뷰파인더로 하늘을 보면서 CPL필터를 돌려보면 하늘색이 짙은색으로
변하는 시점이 있습니다.(CPL필터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2 Piece로 되어있습니다)
이때 하늘을 찍으면 짙은 파란색의 예쁜 하늘이 나올 것으로 생각하는데, 실제 찍힌 하늘색을 보면
전혀 변화가 없는 하늘색에 실망하게 될 겁니다.
조리개우선모드, 셔터우선모드, 프로그램모드 등 자동노출모드로 하늘만 찍을 경우는 CPL을 돌려서
짙은 푸른색일 때 찍건, 밝은 회색일 때 찍건 간에 카메라는 무조건 하늘의 밝기를 일정한 노출값으로
측광을 합니다.
다시 말해서, 자동노출모드로 찍으면 어떻게 찍건 간에 하늘은 항상 같은 톤으로 나온다는 이야기
입니다. 조리개를 조이면 셔터속도가 느려지고 열면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죠.
노출 결과를 같도록 만드는 것이 카메라의 자동측광모드입니다.
* CPL필터를 이용한 촬영법 * ( 촬영법 요약은 맨 아래 참조 )
1) CPL필터를 장착하고 구도를 맞춥니다.
(구도를 잡은 후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렌즈의 AF버튼을 MF로 전환하는게 편리합니다
<이유는 아래 3번에서 설명> 그런 다음 처음 의도했던 구도를 다시잡습니다. 초점을 맞춘후
줌링을 움직이게 되면 초점이 달라지므로 초점을 맞춘후에는 줌링을 돌리지 않아야합니다. )
2) CPL필터를 하늘색이 가장 밝아 보일때까지 돌립니다
3) 그 다음 노출을 고정합니다.
CPL의 비밀은 “노출을 고정”하는 데에 있습니다.
CPL을 돌리면서 파인더를 유심히 보시면 하늘색은 짙은 푸른색, 밝은 회색으로 변하게 되지만 하늘
아래의 건물이나 풍경의 밝기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겁니다.
이 때 카메라는 렌즈를 통한 하늘이 밝아진 만큼, 보다 빠른 셔터속도로(조리개우선모드), 혹은 보다
조여진 조리개치(셔터우선모드)로 측광합니다. 이때 노출을 고정하면 그 측광치가 그대로 고정되는
것이지요.
캐논카메라의 경우는 카메라 뒷면 우측상단의 노출고정을 위한 AE잠금버튼 ( * 표시 버튼)을
누릅니다. 다만 누르고 몇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곧바로 촬영하지 않을 경우에는 버튼을
누른 상태로 촬영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사진의 구도를 잡기위하여 반셔터(셔터 반누름)를 사용해야 하는경우가 많은데 반셔터와 AE잠금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촬영하기가 쉽지않을것입니다. 이때는 우선 초점을 맞추기 원하는 피사
체에 AF포인트를 설정한후 셔터를 반누름하여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셔터버튼에서 손을 떼고 렌즈
옆면의 AF<->MF 버튼을 MF로 전환하여 초점을 고정합니다. 그 다음 원래의 구도로 카메라를 향한후
노출을 고정하기위한 AE잠금버튼을 누른 후 아래 4)번을 진행합니다.
4) 노출을 고정했으면 다시 CPL필터를 돌려서 짙은 푸른색의 어두운 하늘을 만든 후 셔터를 눌러서 촬영
합니다.(이때 역시 AE LOCK 버튼을 계속해서 누르고 있어야 함을 잊지마십시오)
노출은 위에서 말씀 드린 밝은 하늘색에서 맞춰진 노출을 유지한 상태로 CPL필터만 돌려서 촬영하는
것입니다.
주된 피사체의 밝기는 고정된 상태에서 CPL필터에서 보정된 하늘의 짙은 푸른색 색감이 그대로 담긴
사진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파란 하늘 촬영하기 위한 추가 TIP -
1. CPL의 편광작용은 역광이나 순광상태에서보다는 광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향했을때 효과가
두드러집니다.
반면, 편광필터가 없는 경우의 촬영은 태양을 등지고 태양의 반대편 하늘을 촬영할 때가 가장 푸릅니다
2. 편광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노츨을 보다 언더로 보정하는것이 하늘색을 더 푸르게 합니다.
다만 하늘이 아닌 피사체의 밝기를 지나치게 어둡게 하는 것이 아니라는 가정하에서입니다
언제나 명심하여야 할것은 밝은 사진보다는 어두운 사진이 차라리 낫다는 것입니다.
특히 하늘을 찍는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포토샵을 통한 후보정의 경우에, 밝게 찍혀서 하늘의 구름
의 디테일이 날아가버린 경우는 보정을 통해서도 이를 되살릴수는 없는것이죠.
3. CPL 필터를 보면 색상이 ND필터처럼 어두운것을 볼수있습니다.
CPL을 사용할 경우는 ND2 필터정도의 광량 감소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ND2 는 광량 1/2 감소)
****** 촬영법 요약 ***********
1. 줌을 이용하여 구도를 잡고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후 렌즈를 MF로 전환(반셔터 대신)
2. 줌을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원래의 구도로 카메라를 향한후 CPL을 돌려 하늘이 가장 밝게
보일때까지 회전시킨후 노출고정버튼 누름
3. 노출고정버튼 누른상태에서 다시 CPL을 하늘이 가장 어두워보일때까지 회전후 촬영
* 주의할 점: CPL을 회전할때 초점 조절링이 따라돌지 않도록 주의!!
'▶─공부자료─◀ > •― 사진♡교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옴-여행용 카메라, 어떤 게 좋을까 (0) | 2010.02.22 |
---|---|
풍경사진 잘 찍는 법 - 그라데이션 ND필터를 사용하자 (0) | 2010.02.22 |
코킨(Cokin) 그라데이션 필터 P121 F (Gradual Grey G2 Full /ND8) (0) | 2010.02.19 |
초보자를 위한 외장 플래시 사용법 (0) | 2010.02.19 |
사진맹 탈출을 위한 지침서 (0) | 201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