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의 기본
태그 입력 형태 |
내용 설명 |
<HTML> </HTML> |
웹 브라우져에게 현재 전송받은 문서가 HTML 문서라는 것을 알려주는 태그 HTML 문서의 맨 처음과 끝에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를 각각 쓴다. |
<HEAD> </HEAD> |
HTML 문서의 머리말 구조를 나타내는 태그로 문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HTML 문서 자체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가진다. |
<TITLE> </TITLE> |
브라우져 상단의 타이틀 바에 나타낼 HTML 문서의 제목을 정한다. 머리말부분(<HEAD></HEAD>사이)에서만 사용되는 태그. |
<!DOCTYPE> |
이 태그가 사용된 문서가 기초한 HTML 언어의 버전을 설명할 때 사용. 독립태그이며 머리말 부분에서만 사용된다. |
<LINK>
|
스타일시트 파일을 불러오는 등 현재 문서와 다른 문서와의 관계를 설정할 때 사용. 독립 태그이며 머리말 부분에서만 사용된다. |
HREF="이동하려는 파일 또는 URL" TITLE="제목" REL="옵션" |
<!-- --> |
HTML 문서에 주석(설명 등..)을 포함시킬 때 사용하는 태그로써 문서에는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는다. (단 스크립트 등은 예외) |
<BODY> </BODY>
|
HTML 문서의 본문의 시작과 끝을 알린다. |
BACKGROUND="파일명 또는 배경이미지가 있는곳의 URL" → 문서의 배경그림을 정한다. BGCOLOR="#RGB값 또는 색상명" → 문서의 배경색을 정한다. LINK="#RGB값 또는 색상명" → 링크로 연결된 텍스트의 색을 정한다. 기본색 파랑. TEXT="#RGB값 또는 색상명" → 문서의 기본 글자색을 정한다. 기본색 검정. ALINK="#RGB값 또는 색상명" → 링크로 연결된 부분을 클릭할때의 색을 정한다. 기본색 빨강. VLINK="#RGB값" 또는 "색상명" → 방문했던 링크의 색을 정한다. 기본색 보라. LEFTMARGIN="n" → 화면 외쪽 여백을 정한다. RIGHTMARGIN="n" → 화면 오른쪽 여백을 정한다. TOPMARGIN="n" → 화면 상단 여백을 정한다. BOTTOMMARGIN="n" → 화면 아래의 여백을 정한다. STYLE=" " → 특정모양을 정한다. BGPROPERTIES → 화면을 스크롤할 때 배경그림이 함께 스크롤되지 않게 한다. |
<H1~6> </H1~6>
|
제목 문자열을 지정하는 태그로 H1 이 가장 작고 H6 이 가장 크다. (기본값 4) 제목이기 때문에 독립된 줄에 나타난다. (<BR>태그를 사용한 것과 같음) |
ALIGN="LEFT | CENTER | RIGHT"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
<BR>
|
HTML 문서에 줄 바꿈 효과를 주는 독립 태그. |
CLEAR="LEFT | RIGHT | ALL" 이미지 왼쪽, 오른쪽, 양쪽에 여백이 생길 때.. |
<NOBR> </NOBR> |
문장이 긴 경우 브라우져가 자동으로 다음 줄에 표시해 주는 것을 막을 때 사용 |
<P> </P> 또는 <P>
|
빈 줄을 하나 삽입하고 다시 줄을 바꿔서 다음의 문자열을 표시. 이것은 <BR> 태그를 두번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
ALIGN="LEFT | CENTER | RIGHT"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
<CENTER> </CENTER> |
문단을 가운데로 정렬해 주는 태그 <P ALIGN="CENTER"></P> 등을 여러 번 쓸 필요 없이 <CENTER>태그를 사용하여 한번에 여러 문단을 가운데 정렬시킬 수 있다. |
<PRE> </PRE> |
PREformat의 약자로 이 태그의 사이에 있는 문자열들은 여백, 줄간격 등이 보이는대로 출력된다. |
<XMP> </XMP> |
이 태그는 <PRE> </PRE> 와 유사하지만 태그 까지도 그대로 화면에 나타내 준다. |
<DIV> </DIV>
|
단락 편집 태그로 각 문단 사이에 빈 줄을 추가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P>태그의 기능과 동일. |
ALIGN="LEFT | CENTER | RIGHT"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
<HR>
|
가로 선(수평선)을 표시하는 독립 태그. |
ALIGN="LEFT | CENTER | RIGHT" → 선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WIDTH="n" → 선의 길이를 픽셀이나 % 단위로 정한다. SIZE="n" → 선의 두께를 포인트로 정한다. NOSHADE → 선에 입체감을 없앤다. (테두리가 없어지고 검게 채워진다.) |
<MARQUEE> </MARQUEE>
|
자바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스크롤되는 문자열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
ALIGN="LEFT | CENTER | RIGHT" →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BEHAVIOR="옵션" HEIGHT="픽셀 값 또는 비율 값" → 문자열 가로 범위 WIDTH="픽셀 값 또는 비율 값" → 문자열 세로 범위 BGCOLOR="#RGB값 또는 색 이름" → 배경색 DIRECTION="옵션" → 이동 방향 LOOP="값" → 반복횟수 SCROLLAMOUNT="픽셀 수" → 한번에 스크롤되는 시간 SCROLLDELAY="밀리초" → 스크롤 지연 시간 HSPACE="픽셀값" → 스크롤 문자열 가로 좌표 VSPACE="픽셀값" → 스크롤 문자열 세로 좌표 |
<FONT> </FONT>
|
문자열의 크기, 글꼴과 색등을 지정한다. |
COLOR="#RGB값 또는 색 이름" → 글자 색을 정한다. SIZE="글자크기" → 글자크기를 정한다. (기본크기 3) FACE="글자 체" → 글자 체를 정한다. |
<BASEFONT> </BASEFONT>
|
기본 텍스트의 글꼴 크기를 정하는 독립 태그. |
COLOR="#RGB값 또는 색 이름" → 글자 색을 정한다. SIZE="글자크기" → 글자크기를 정한다. (기본크기 3) NAME="글꼴" → 글꼴을 정한다. |
<B> </B> |
태그에 포함된 문자열을 굵은 글자로 만들어준다. |
<I> </I> |
태그에 포함된 문자열을 이탤릭체로 만드는 태그. |
<U> </U> |
태그로 포함된 문자열에 밑줄을 넣을 때 사용되는 태그. |
<S> </S> |
태그에 포함된 문자열의 중간에 선을 그어 삭제 표시를 할 때 사용한다. |
<BLINK> </BLINK> |
태그에 포함된 문자열을 깜빡이게 하여 눈에 쉽게 띄도록 할 때 사용한다. |
<UL> </UL>
|
Unordered List의 약자로 각 목록을 볼릿 기호를 사용하여 나열할 때 사용한다. |
TYPE="옵션" → 아래 <LI> 태그의 옵션과 같다. |
<OL> </OL>
|
Ordered List의 약자로 순차적인 목록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
START="시작번호" TYPE="옵션" → <LI> 태그의 옵션과 같다. |
<LI>
|
<UL>태그, <OL>태그, <DIR>태그, <MENU>태그 등의 사이에 들어가서 목록을 만드는 독립 태그. |
VALUE="n" → 설정된 숫자 부터 시작 TYPE="a" → 소문자 a부터 시작 TYPE="I" → 그리스 대문자 I부터 시작 TYPE="i" → 그리스 소문자 i부터 시작 TYPE="1" → 숫자 1부터 시작 TYPE="CIRCLE" → 검은 원 표시 TYPE="DISK" → 흰 원 표시 TYPE="SQUARE" → 검은 사각형 표시 |
<DL> </DL> |
Definition List의 약자로 단어 또는 용어를 설명할 때 사용한다. |
COMPACT |
<DT> |
Definition iTem의 약자로 정의 목록을 나타낸다. <DL> 태그 안에서만 사용되는 독립태그이다. |
<DD> |
정의 내용을 서술한다. <DL> 태그 안에서만 사용되는 독립 태그. |
<DIR> </DIR> |
하나의 문자열이 20자 이하인 경우, 작은 목록을 만들 때 사용한다. |
<MENU> </MENU> |
문장을 열거 |
<IMG>
|
HTML 문서에서 이미지를 포함시킬 때 사용하는 독립 태그이다. |
SRC="경로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명" → 불러올 이미지파일의 위치와 이름을 지정한다. LOWSRC="작은 이미지 파일의 경로 및 이름" → 불러올 이미지가 클 경우 큰 이미지가 완전히 로드될 때까지 작은 이미지를 먼저 나타내서 화면상의 공백을 없앤다. ALIGN="LEFT | CENTER | RIGHT" → 그림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VALIGN="TOP | MIDDLE | BOTTOM" → 그림을 위, 가운데, 아래로 각각 정렬한다. HSPACE="픽셀값" → 그림의 좌우여백을 정한다. VSPAVE="픽셀값" → 그림의 상하여백을 정한다. BORDER="픽셀값" → 그림 테두리의 두께를 정한다. HEIGHT="픽셀값" → 그림의 가로길이를 정한다. WIDTH="픽셀값" → 그림의 세로길이를 정한다. ALT="문자열" → 그림에 마우스를 댔을때 나오는 설명문자열을 정한다. UseMap="#이미지맵 이름" → <MAP NAME="이미지맵 이름">태그에서 정한 이름을 불러온다. |
<MAP> </MAP>
|
이미지맵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
NAME="이미지맵 이름" → 이미지맵의 이름을 정한다. |
<AREA>
|
<MAP> 태그 안에 들어가서 이미지를 나누는 독립태그이다. |
SHAPE="RECT | CIRCLE | POLYGON" → 선택부분의 모양을 정한다. (사각형, 원형, 다각형) SHAPE="DEFAULT" → 지정 영역 외의 부분을 클릭한 경우 COORDS="n,n,n" → 선택부분의 위치를 정한다. HREF="링크경로명" → 선택영역 또는 영역외의 부분을 클릭했을때 연결할 문서등을 정한다. NOHREF → 링크연결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TARGET="창이름" → 연결 문서등을 나타낼 창의 이름을 정한다. ALT="문자열" → 그림에 마우스를 댔을때 나오는 설명문자열을 정한다. |
<A> </A>
|
이미지, 문서, 사운드 등 여러 객체를 문서 내에 연결시킬 때 사용. 문서의 특정한 위치 또는 다른 문서로 이동하거나 다른 파일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HREF="이동하고자 하는 문서 또는 주소" → 특정 문서를 열거나 특정 주소로 이동 HREF="파일이름#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이름" → 특정 HTML문서의 특정 위치로 이동 HREF="MailTo:ID@주소" → E-Mail 바로 기재 후 보내기. NAME="위치의 이름" → 현재위치를 지정한 후 나중에 <A href="파일이름#위치이름">문자열</A> 로 연결하여 지정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TITLE="설명문자열" ==> 마우스를 대었을 때 나오는 설명 문자열을 정한다. TARGET="_BLANK" ==> 새로운 창으로 열기 TARGET="_PARENT" ==> 상위문서 창으로 열기 TARGET="_SELF" ==> 현재의 창으로 열기 (기본 값) TARGET="_TOP" ==> 새로운 창으로 열기 (Flame 없어짐) TARGET="이름" ==> 자기가 설정한 창으로 열기 HREF SRC=" " ==> 소리파일 연결 REL="관계옵션" NODE PATH |
<TABLE> </TABLE>
|
표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각종 속성을 정한다. |
BORDER="n" → 표의 테두리 굵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WIDTH="n" → 표의 가로크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HEIGHT="n" → 표의 세로 크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CELLSPACING="n" → 표 안의 셀 사이의 간격. (기본 값 2) CELLPADDING="n" → 표의 내용과 테두리 사이의 간격. (기본 값 1) BACKGROUND="파일명" → 표의 배경그림 넣기 BGCOLOR="#RGB값 또는 색상 명" → 표 배경색 RULES=" " → 구획 선 |
<TR> </TR>
|
표의 한 수평 열을 정한다. <TABLE>태그 안에 들어 가야한다. |
BGCOLOR="#RGB값 또는 색상명" → 표 배경색 ALIGN="LEFT | CENTER | RIGHT" → 표 안의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VALIGN="TOP | MIDDLE | BOTTOM" → 표 안의 문자열을 위, 가운데, 아래로 각각 정렬한다. |
<TH> </TH>
|
표 머릿 말. <TR>태그 안에 들어 가야한다. |
WIDTH="n" → 셀의 가로크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HEIGHT="n" → 셀의 세로 크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BGCOLOR="#RGB값 또는 색상 명" → 표 배경색 ALIGN="LEFT | CENTER | RIGHT" → 표 안의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VALIGN="TOP | MIDDLE | BOTTOM" → 표 안의 문자열을 위, 가운데, 아래로 각각 정렬한다 |
<TD> </TD>
|
표의 하나하나의 셀. <TR>태그 안에 들어 가야한다. |
WIDTH="n" → 셀의 가로크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HEIGHT="n" → 셀의 세로 크기 (픽셀이나 %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COLSPAN="n" → 셀 열을 n개 만큼 합친다. ROWSPAN="n" → 셀 행을 n개 만큼 합친다. BGCOLOR="#RGB값 또는 색상 명" → 표 배경색 ALIGN="LEFT | CENTER | RIGHT" → 표 안의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VALIGN="TOP | MIDDLE | BOTTOM" → 표 안의 문자열을 위, 가운데, 아래로 각각 정렬한다. |
<CAPTION> </CAPTION>
|
표의 제목 행을 정한다. <TABLE>태그 안에 들어 가야한다. |
ALIGN="LEFT | CENTER | RIGHT" → 표 안의 문자열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으로 각각 정렬한다. VALIGN="TOP | MIDDLE | BOTTOM" → 표 안의 문자열을 위, 가운데, 아래로 각각 정렬한다. |
<FRAMESET> </FRAMESET>
|
창틀 기본 설정 |
ROWS="n,n,n,n..." → 상하 크기 나누기 (픽셀이나 % 단위 또는 *로 지정할 수 있다.) COLS="n,n,n,n..." → 좌우 크기 나누기 (픽셀이나 % 단위 또는 *로 지정할 수 있다.) BORDER="n" → 창틀 두께 크기 FRAMEBORDER="yes | no" → 창틀 테두리 유무 FRAMESPACING="n" → 창틀 내부 간격 NORESIZE → 브라우져가 프레임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금지 BORDERCOLOR="색상 값" → 경계선의 색을 설정한다. (넷스케이프에서) |
<FRAME>
|
<FRAMESET> 에서 정한 각각의 창을 설정하는 독립태그 |
SRC="파일 경로 및 이름" → 각각의 창에 연결될 HTML 파일 경로 및 이름 NAME=" " → 창의 이름 설정. 나중에 TARGET 속성으로 링크연결할 때 사용 MARGINWIDTH="n" → 창에 들어갈 넓이 여백 MARGINHEIGHT="n" → 창에 들어갈 높이 여백 SCROLING="YES | NO | AUTO" → 스크롤 바(bar) 선택, 무시, 자동. (기본 값은 자동) NORESIZE → 창틀 크기 고정 |
<NOFRAMES> </NOFRAMES> |
프레임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져에서 나타낼 내용 표시 |